728x90
반응형

화훼장식기능 4

○화훼장식기능사 필기준비○ 화훼가공

1. 자연건조 - 가장 편리하지만 아름다운 색 유지/관리 어려움 - 활짝 피기 전, 건조하고 어둡고 서늘하고, 통풍 잘되는 것 - 호흡으로 인한 양분 손실이 있기 전에 온도를 올려 빠르게 건조 - 건조 시 광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짐 2. 열풍건조 - 아름다운 색 유지 가능 - 대표적으로 장미, 40~50도에서 색과 향 유지 3. 동결 - 꽃을 순간적으로 동결하여 수분 제거 - 꽃 형태와 색상 그대로 유지 - 공기 중 습기에 노출 되었을 때 쉽게 변색 - 밀폐하여 장식 4. 글리세린 - 용액 이용하여 유연성을 증대 - 수확하자마자 잎소재에 많이 사용 - 건조소재의 부서지는 단점 보완 5. 실리카겔(매몰건조) - 규산의 건조상태인 겔로 강한 흡수력이 있음 - 꽃의 수축과 형태의 변화가 적어 아름다움 - 공..

○화훼장식기능사 필기○ 화훼 장식 표현기법

1. 표현기법 1) 밴딩 기능성 보다는 시각적 효과와 장식적 효과를 주기위해 묶는 방법 소재 줄기 부분에 라피아, 철사, 잎 등으로 묶어 시선을 모으는 것 ※ 리본 묶기 2) 바인딩 줄기의 고정 목적으로 묶어주는 방법 (기능적 효과 / 꽃다발) 3) 번들링 유사하거나 동일한 소재를 다발로 만들기 위해 묶는 방법 (볏짚단 등) 4) 레이어링 꽃이나 잎 등을 포개어 표면을 수평으로 덮는 방법 각 재료의 간격을 두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둠 비늘과 같은 평면적인 층으로 보이도록 함 5) 테라싱 계단의 느낌으로 유사 종류의 것을 수평 혹은 앞 뒤로 쌓아 올림 (베이싱 기법의 하나) 입체감을 위해 재료와 재료 사이에 공간을 둠 6) 그루핑 동일한 소재가 같은 색상의 소재를 집단적으로 모아 제한된 구역 내에서 형태, ..

○화훼장식기능사 필기○화훼장식 종류와 특성

1. 절화장식 (1) 꽃꽃이 □ 동양 꽃꽂이 - 인도에서 발생 → 한국, 일본, 대만, 중국 등을 중심국으로 발전 - 자연과 인간의 감정에 의한 갈등, 내면 세계의 이념을 사실적/비사실적으로 표현 - 전통적 화도 강조 / 실용적이기 보다 감상, 전시용 - 선, 여백 강조 / 심상적 표현 중심 / 가지류 사용 多 - 세 가지 각도와 위치에 따라 형태를 구성하며 고정용 도구로 침봉 사용 - 기본 화형 ㆍ 직립형(바로 세우는 형) : 1주지가 바로 서있는 형태 ㆍ 경사형 (기울이는 형) : 1주지가 기울어져 있는 형태 ㆍ 하수형 (드리우는 형) : 1주지가 아래로 늘어져 있는 형태 (높은 화기 사용) ㆍ 분리형 (나누어 꽃기) : 한 화기에 주지를 나누어 공간미를 나타냄 (1개 화기/2개 침봉 ㆍ 복형(거듭 ..

○화훼장식기능사 필기○ 화훼장식 식물명/재료 분류

식물명 - 학명과 보통명(일반명)으로 구분한다 - 식물학적 분류 단위 : 계 > 문 > 강 > 목 > 과 > 속 > 종 ▷ 계 : 식물계 ▷ 문 : 꽃의 개화 여부 ▷ 강 : 겉씨, 속씨 식물 ▷ 목 : 생식기관으로 분류 ▷ 과 : 형태, 생태학적 유전적 분류 ▷ 속 : 유사성 가진 종의 모임 ▷ 종 : 분류학상 최소 기본단위, 상호 생식이 가능한 집단 ◆ 학명 : 국제적으로 통용되도록 정한 이름 (린네의 이명법 이용) ㆍ장점 - 나라와 언어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혼동되지 않는 통용 명칭 안정성과 정확성 있고, 이름 내에 식물의 정보가 있음 ㆍ단점 - 기억하기 어렵고 엄격하게 규제되어 지켜야 함, 라틴어로서 읽기 어려우며 일반인이 사용하기어려움 ▷학명 표기법 (반드시 라틴어로 쓰고 발음함) ◆ 일반명(보통..

728x90
반응형